Python Pyhon 스터디 3 of 100, String 혹은 문자열에 대한 첫번째 이야기 문자열(String)도 객체다. 우리는 일반적인 문자열(string)에 대한 정의를 따르기 보다는 파이썬에서 제시하는 정의를 따르기로 하자. 파이썬의 표준 문서에서 문자열은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A string is a sequence
Python Pyhon 스터디 2 of 100, Python에서 객체란? 여기도 추상화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객체(object)는 난감한 존재다. 왜냐하면, 딱 잘라서 말하기 쉽지 않고 그렇다고 두리뭉실하게 넘기기엔 중요한 용어(term)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공식 문서를 꼭
Python Pyhon 스터디 1 of 100, 레퍼런스 카운팅와 가비지 컬렉터 언어를 바라보는 관점 프로그래밍 언어를 바라보는 관점은 다양하다. '쉬운 언어 vs 어려운 언어'로 시작해서 '좋은 언어 vs 나쁜 언어'를 거쳐서 'Write in C'로 끝맺음을 하는 경우도 있다. 수준 높은 분들은
Python 2020년을 함께 공부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인원을 모집합니다 2020년을 맞이해서 부산 지역에서 ML 스터디를 1년간 함께 할 분들을 모집합니다. 스터디 신청서 입니다. 2019년 ML 스터디 회고 안녕하세요. 부산에서 Python으로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요즘은 Haskell에 심취해 있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Python Celery 관련 기사/튜토리얼/How-To를 읽고 메모한 내용 Celery 관련 자료를 읽고 요약(이라 쓰고 '선택적 집중', '취사선택', '선호에 의한 정보 전달') Celery의 빛과 그림자 한글 / 한국어 가능/능통자가 읽기에 가장 좋음. 이거 읽으면 대충 다 이해 됨.
Python Full Stack Python의 'Best Python Resources'를 공부하면서 나름대로 정리한 자료 주의 : 이 문서는 최고의 파이썬 자료(Best Python Resources)의 요약(오역난무)본 입니다. 해당 주석은 제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수정 내용 정리 2015.11.13 - 금요일에 만나고 싶었지만 비오는